본문 바로가기

Wil

(2)
[WIL] ORM, noSQL vs SQL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ORM이란 객체-관계 매핑의 줄임말이다.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핑해주는 것을 말한다. 객체 간의 관계를 바타으로 SQL을 자동 생성해서 sql 쿼리문 없이도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게 해준다. ORM은 상향식, 하향식 중간에서 모임이라는 세 가지 접근 방식으로 객체 코드 및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불일치를 해결한다. 패러다임 불일치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지향하는 목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둘의 기능과 표현 방법도 다르다. 배경지식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1) 2차원 구조의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2) 데이터의 무결성, 트랜젝션 처리 등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써의 뛰어난 성능 3) 질의어(Query Lang..
[WIL] Restful API, package.json Restful API란? 기술이나 제품이 아닌 형식.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 알아보기 쉬워 유지보수 및 운용을 유용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 참조: https://gmlwjd9405.github.io/2018/09/21/rest-and-restful.html https://www.youtube.com/watch?v=iOueE9AXDQQ package.json이란? 배포한 모듈 정보를 담기 위해 만들어진 JSON 형식의 파일로, 직접 작성할 수도 있고 npm* init 명령을 통해서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있다. main: 메인은 생성하는 자바스크립트 파일로 자동 업데이트 된..